육아Story/육아정보

아플 때 먹지 않으려고 하는 아이

윤씨네서준맘 2023. 6. 17. 10:57
728x90
반응형

아플 때 먹지 않으려고 하는 아이

아플 때 먹지 않으려고 하는 아이

아이가 아플 때 식욕이 부진한 경우가 있을 수 있습니다. 아픈 상태에서는 아이가 음식을 거부하는 경우가 많고, 이는 아픔으로 인한 불편함이나 입맛의 변화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때 아이가 식사를 거부한다면 강요하지 않고 아이의 상태를 지켜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 열이 있을 경우

감기 등 질병으로 인해 열이 높을 때는 하루 이틀 동안은 고형음식은 주지 않으며 발열로 인하여 체내 수분손실이 많으므로 보리차나 과즙을 충분히   먹이도록 하세요. 우유는 토하지 않고 먹는다면 주어도 괜찮아요. 

 하루 이틀 열이 떨어짐에 따라 식욕은 정상으로 돌아오므로 영양가 있는 음식을 조리하여 주셔야겠죠. 
 간혹 열이 있는데도 먹으려는 아이에게는 죽, 식빵, 유아용 비스킷, 카스텔라, 죽 등으로 아이가 좋아하고 소화가 우수한 음식물을 먹는 만큼 주는 게 좋아요. 


※ 열이 있을 때 소화가 잘안되는 음식 :날거나 삶은 야채, 고기, 닭고기, 생선, 유지방(버터, 마아가린 등)

 

 

 가벼운 감기 기운

열이 없다면 보통때와 같이 먹이도록 하세요. 적게 먹더라도 강요하여 먹이지는 마세요. 

과즙이나 보리차를 자주 주세요.

 

 설사를 할 경우

아이가 설사를 할때는 고형식이나 기름기가 많은 소화가 떨어지는 음식물은 좋지 않아요. 
설사가 멎었을 때 첫날에는 평소의 1/3, 둘째 날에는   2/3, 셋째 날에는 평소와 같이 먹이세요. 


 음식물 먹이는 순서 : 요구르트-과즙이나 쥬스-고기와 반숙한 계란-쌀밥-채소-감자나 녹말이 들어 있는 음식-과일류 등의 순서로 주세요


 토할 경우 

음식을 토한 경우에는 억지로 먹이지 않고 한두 시간 정도 휴식을 갖게 해 주세요.
토하려고 하지 않는다면 보리차 한 모금부터 시작해서 점점 더 양을 늘려 과일주스를 먹이고 토한 지 3-4시간 후에는 고형식을 주어도 돼요. 


그러나 아이가 먹지 않으려고 한다면 상태를 지켜보며 먹이지는 마세요. 


 아프지 않아도 식욕부진인 경우 

식욕이 없으면서 보통때 보다 활동량이 없고 기분이 좋지 않으며 열이 있으면 소아과에 꼭 문의를 하셔야겠지만 다른 이유가 있어 식욕 부진인 경우도 있어요. 


  - 단조로운 식사 내용이나 조리법, 너무 단 간식, 너무 많은 양을 먹일 때 
  - 어른과 마찬가지로 선천적으로 양이 적은 아기 
  - 잠을 너무 자거나 수면량이 부족한 경우 
  - 격렬한 운동이나 운동 부족, 갑자기 무더워진 날씨 
  - 친구, 형제 자매와 싸우거나 엄마의 지나친 잔소리를 듣는 등 심리적으로 위축되었을 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