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아Story/육아정책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지원

윤씨네서준맘 2023. 7. 11. 10:49
728x90
반응형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지원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지원사업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지원사업

전문 교육을 받은 산모신생아 건강 관리사가 출산가정을 방문해 산후 건강회복과 신생아를 돌보는 정부 지원 바우처 서비스


대상

산모 또는 배우자가 생계·의료·주거·교육급여 수급자 또는 차상위계층*에 해당하는 출산가정
산모 및 배우자 등 해당가구의 건강보험료 본인부담금 합산액이 기준중위소득 150% 이하 금액에 해당하는 출산가정

*  임신 16주 이후 발생한 유산·사산의 경우도 지원대상에 포함

 

【건강보험료 본인부담금에 의한 기준중위소득 150% 이하 판정기준】

 

가구원수 소득기준 건강보험료 본인부담금
직장가입자 지역가입자 혼합
2인 5,185,000 183,861 142,142 186,476
3인 6,653,000 237,913 206,359 242,216
4인 8,102,000 291,898 273,699 299,947
5인 9,497,000 346,067 335,569 359,887
6인 10,842,000 403,785 402,840 434,962

 

※ 노인장기요양보험료를 제외한 금액임


정해진 소득기준을 초과하는 경우라도 예외적으로 지원이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유형*에 대해서는 시ㆍ도 또는 시ㆍ군ㆍ구가 별도의 기준을 정해 예외지원 가능

* 희귀난치성질환ㆍ새터민ㆍ결혼이민ㆍ미혼모ㆍ분만취약지 산모, 장애인 산모 및 장애신생아, 쌍생아 이상ㆍ둘째아ㆍ셋째아 이상 출산가정, 기타 소득기준 완화 등
※ 지방자치단체별 지원 여부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관할 시ㆍ군ㆍ구(보건소)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신청기간 : 출산 예정일 40일 전부터 출산일로부터 30일까지

신청장소 : 산모의 주소지 관할 시 · 군 · 구 보건소
* 온라인 신청은 복지로 ( www.bokjiro.go.kr )

신청자격 : 국내에 주민등록(주민등록한 재외국민 포함) 또는 외국인등록을 둔 출산가정
* 단, 부부 모두가 외국인인 경우 각 외국인은 국내 체류자격 비자(사증) 종류가 F-2(거주), F-5(영주), F-6(결혼이민)인 경우에 한함

지원기간 : 태아유형, 출산순위, 이용자 선택(단축 · 표준 · 연장)에 따라 최소 5일∼최대25일

※ 이용자가 제공기관과 이용계약을 체결하고, 제공기관이 그 내용을 사회서비스 전자바우처시스템에 등록하여 바우처가 생성된 이후에는 선택한 서비스기간(상품)을 변경할 수 없음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지원내용 : 산모건강관리(영양관리, 체조지원 등), 신생아 건강관리(목욕, 수유지원 등), 산모 식사준비, 산모 · 신생아 세탁물 관리 및 청소 등

산모 · 신생아 외 다른 가족 돌봄이나 일반 가사활동 영역은 표준 서비스에 포함되지 않는 부가서비스이므로 원하는 경우 별도로 추가구매가 필요한 사항입니다.

유효기간 : 출산일로부터 60일 이내

* 미숙아, 선천성 이상아 출산 등으로 입원한 경우 신생아의 퇴원일로부터 60일 이내(이 경우에도 출산일로부터 120일을 초과할 수 없음)

 

서비스 비용

서비스가격 : 태아 유형별로 정해진 기준 가격 적용

 

구분 단태아 쌍태아(인력 1명) 쌍태아(인력 2명) 삼태아 이상(인력 2명)
일반 132,800원 165,600원 232,400원 265,600원

 

※ 제공기관별로 우수인력 일부에 대해 기준 가격의 +5% 범위 내에서 가격 자율 책정한 상품의 운영이 가능하므로, 제공기관과 계약 체결 전 서비스 가격 확인이 필요합니다.


정부지원금 :태아유형, 출산순위, 소득구간, 이용자 선택(단축 · 표준 · 연장)에 따라 차등 지원

본인부담금 : 서비스가격에서 정부지원금을 뺀 차액 부담

 

주의사항
※ 출산박람회, 베이비 페어 등에서 시·군·구(보건소)에 등록되지 않은 제공기관이 정부지원 등록 업체로 사칭 계약하는 등 사기에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1) 이용권(바우처) 자격판정은 시·군·구(보건소)에서만 가능합니다.
2) 시·군·구(보건소)에서 이용권(바우처) 자격 판정을 받은 후 제공기관과 계약 체결할 것을 권고드립니다.
3) 시·군·구(보건소) 등록기관인지 여부는 관할 시·군·구(보건소)나 사회서비스 전자바우처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위 내용 까지는 정부에서 지원하는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지원사업에 관련하여 정리한 내용이며 아래는 개인적으로 산후도우미 구할 때 업체에 무엇을 물어봐야 할지 모르는 산모들을 위해서 참고가 될 수 있는 질문지 리스트입니다.

 

▶ 산후도우미 구하기 전 업체에 할 질문

  • 예약은 언제까지 하면 되나요?
  • 예약절차 및 확인은 어떻게 하나요?
  • 예정일과 출산일이 틀린 경우 어떻게 되나요?
  • 산후도우미 연령대와 경력기간은 어느 정도 되나요?
  • 예약기간보다 연장하거나 단축하게 되면 어떻게 되나요?
  • 산후도우미의 일정과 근무 시간에 대해 어떻게 정해지나요? 유연한 스케줄 조정이 가능한가요?
  • 만약 산후도우미와의 호텔링을 원한다면 가능한가요? 추가 비용이 있을까요?
  • 산후도우미 교체 시 몇 번까지 가능한가요?
  • 병원에서부터 서비스를 받을 수 있나요?
  • 예약을 취소하면 어떻게 되나요?
  • 예약을 취소하는 경우 부가서비스 비용은 어떻게 되나요?
  • 서비스 신청 후 철회하면 신청비용은 어떻게 되나요?
  • 잔금은 어떻게 지급하나요?
  • 업체가 제공하는 서비스에는 어떤 것들이 포함되나요?
  • 집안일의 범위는 어디까지 해주나요?
  • 어느 것을 손세탁 해주시나요?
  • 가족의 의류 세탁은 어떻게 해주시나요?
  • 산모방청소는 어떻게 해주나요?
  • 아빠식사준비도 해주나요?
  • 장보기도 도와주나요?
  • 산모가 미리 준비해 놓을 것은 무엇인가요?
  • 산모 및 신생아의 건강체크는 매일 하나요?
  • 젖몸살을 위해 유방 마사지도 해주나요?
  • 모유수유를 하고 싶은데 어떤 도움을 주시나요?
  • 신생아 목욕은 어떻게 해주나요?
  • 신생아 젖병세척 및 소독은 어떻게 해주시나요?
  • 신생아 마사지는 어떻게 해주시나요?
  • 서비스비용 중에 관리사에게 따로 차비나 수고비를 줘야 하나요?

 

※그 외 질문리스트에 추가하면 좋은 질문들이 있다면 댓글로 주시면 추가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728x90
반응형

'육아Story > 육아정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난임·다둥이 맞춤형 대책 강화  (42) 2023.09.05
2024년부터 달라지는 육아정책  (45) 2023.08.30
기저귀 & 분유 지원 사업  (23) 2023.07.01
우리아이 첫 만남이용권  (30) 2023.06.30
배우자 출산휴가  (22) 2023.06.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