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모신생아 건강관리 지원사업
전문 교육을 받은 산모신생아 건강 관리사가 출산가정을 방문해 산후 건강회복과 신생아를 돌보는 정부 지원 바우처 서비스
대상
산모 또는 배우자가 생계·의료·주거·교육급여 수급자 또는 차상위계층*에 해당하는 출산가정
산모 및 배우자 등 해당가구의 건강보험료 본인부담금 합산액이 기준중위소득 150% 이하 금액에 해당하는 출산가정
* 임신 16주 이후 발생한 유산·사산의 경우도 지원대상에 포함
【건강보험료 본인부담금에 의한 기준중위소득 150% 이하 판정기준】
가구원수 | 소득기준 | 건강보험료 본인부담금 | ||
직장가입자 | 지역가입자 | 혼합 | ||
2인 | 5,185,000 | 183,861 | 142,142 | 186,476 |
3인 | 6,653,000 | 237,913 | 206,359 | 242,216 |
4인 | 8,102,000 | 291,898 | 273,699 | 299,947 |
5인 | 9,497,000 | 346,067 | 335,569 | 359,887 |
6인 | 10,842,000 | 403,785 | 402,840 | 434,962 |
※ 노인장기요양보험료를 제외한 금액임
정해진 소득기준을 초과하는 경우라도 예외적으로 지원이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유형*에 대해서는 시ㆍ도 또는 시ㆍ군ㆍ구가 별도의 기준을 정해 예외지원 가능
* 희귀난치성질환ㆍ새터민ㆍ결혼이민ㆍ미혼모ㆍ분만취약지 산모, 장애인 산모 및 장애신생아, 쌍생아 이상ㆍ둘째아ㆍ셋째아 이상 출산가정, 기타 소득기준 완화 등
※ 지방자치단체별 지원 여부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관할 시ㆍ군ㆍ구(보건소)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신청기간 : 출산 예정일 40일 전부터 출산일로부터 30일까지
신청장소 : 산모의 주소지 관할 시 · 군 · 구 보건소
* 온라인 신청은 복지로 ( www.bokjiro.go.kr )
신청자격 : 국내에 주민등록(주민등록한 재외국민 포함) 또는 외국인등록을 둔 출산가정
* 단, 부부 모두가 외국인인 경우 각 외국인은 국내 체류자격 비자(사증) 종류가 F-2(거주), F-5(영주), F-6(결혼이민)인 경우에 한함
지원기간 : 태아유형, 출산순위, 이용자 선택(단축 · 표준 · 연장)에 따라 최소 5일∼최대25일
※ 이용자가 제공기관과 이용계약을 체결하고, 제공기관이 그 내용을 사회서비스 전자바우처시스템에 등록하여 바우처가 생성된 이후에는 선택한 서비스기간(상품)을 변경할 수 없음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지원내용 : 산모건강관리(영양관리, 체조지원 등), 신생아 건강관리(목욕, 수유지원 등), 산모 식사준비, 산모 · 신생아 세탁물 관리 및 청소 등
산모 · 신생아 외 다른 가족 돌봄이나 일반 가사활동 영역은 표준 서비스에 포함되지 않는 부가서비스이므로 원하는 경우 별도로 추가구매가 필요한 사항입니다.
유효기간 : 출산일로부터 60일 이내
* 미숙아, 선천성 이상아 출산 등으로 입원한 경우 신생아의 퇴원일로부터 60일 이내(이 경우에도 출산일로부터 120일을 초과할 수 없음)
서비스 비용
서비스가격 : 태아 유형별로 정해진 기준 가격 적용
구분 | 단태아 | 쌍태아(인력 1명) | 쌍태아(인력 2명) | 삼태아 이상(인력 2명) |
일반 | 132,800원 | 165,600원 | 232,400원 | 265,600원 |
※ 제공기관별로 우수인력 일부에 대해 기준 가격의 +5% 범위 내에서 가격 자율 책정한 상품의 운영이 가능하므로, 제공기관과 계약 체결 전 서비스 가격 확인이 필요합니다.
정부지원금 :태아유형, 출산순위, 소득구간, 이용자 선택(단축 · 표준 · 연장)에 따라 차등 지원
본인부담금 : 서비스가격에서 정부지원금을 뺀 차액 부담
주의사항
※ 출산박람회, 베이비 페어 등에서 시·군·구(보건소)에 등록되지 않은 제공기관이 정부지원 등록 업체로 사칭 계약하는 등 사기에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1) 이용권(바우처) 자격판정은 시·군·구(보건소)에서만 가능합니다.
2) 시·군·구(보건소)에서 이용권(바우처) 자격 판정을 받은 후 제공기관과 계약 체결할 것을 권고드립니다.
3) 시·군·구(보건소) 등록기관인지 여부는 관할 시·군·구(보건소)나 사회서비스 전자바우처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위 내용 까지는 정부에서 지원하는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지원사업에 관련하여 정리한 내용이며 아래는 개인적으로 산후도우미 구할 때 업체에 무엇을 물어봐야 할지 모르는 산모들을 위해서 참고가 될 수 있는 질문지 리스트입니다.
▶ 산후도우미 구하기 전 업체에 할 질문
- 예약은 언제까지 하면 되나요?
- 예약절차 및 확인은 어떻게 하나요?
- 예정일과 출산일이 틀린 경우 어떻게 되나요?
- 산후도우미 연령대와 경력기간은 어느 정도 되나요?
- 예약기간보다 연장하거나 단축하게 되면 어떻게 되나요?
- 산후도우미의 일정과 근무 시간에 대해 어떻게 정해지나요? 유연한 스케줄 조정이 가능한가요?
- 만약 산후도우미와의 호텔링을 원한다면 가능한가요? 추가 비용이 있을까요?
- 산후도우미 교체 시 몇 번까지 가능한가요?
- 병원에서부터 서비스를 받을 수 있나요?
- 예약을 취소하면 어떻게 되나요?
- 예약을 취소하는 경우 부가서비스 비용은 어떻게 되나요?
- 서비스 신청 후 철회하면 신청비용은 어떻게 되나요?
- 잔금은 어떻게 지급하나요?
- 업체가 제공하는 서비스에는 어떤 것들이 포함되나요?
- 집안일의 범위는 어디까지 해주나요?
- 어느 것을 손세탁 해주시나요?
- 가족의 의류 세탁은 어떻게 해주시나요?
- 산모방청소는 어떻게 해주나요?
- 아빠식사준비도 해주나요?
- 장보기도 도와주나요?
- 산모가 미리 준비해 놓을 것은 무엇인가요?
- 산모 및 신생아의 건강체크는 매일 하나요?
- 젖몸살을 위해 유방 마사지도 해주나요?
- 모유수유를 하고 싶은데 어떤 도움을 주시나요?
- 신생아 목욕은 어떻게 해주나요?
- 신생아 젖병세척 및 소독은 어떻게 해주시나요?
- 신생아 마사지는 어떻게 해주시나요?
- 서비스비용 중에 관리사에게 따로 차비나 수고비를 줘야 하나요?
※그 외 질문리스트에 추가하면 좋은 질문들이 있다면 댓글로 주시면 추가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육아Story > 육아정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난임·다둥이 맞춤형 대책 강화 (42) | 2023.09.05 |
---|---|
2024년부터 달라지는 육아정책 (45) | 2023.08.30 |
기저귀 & 분유 지원 사업 (23) | 2023.07.01 |
우리아이 첫 만남이용권 (30) | 2023.06.30 |
배우자 출산휴가 (22) | 2023.06.29 |